건물인도(보증금반환)
임대인이 임대차계약 종료를 주장하며 건물의 인도를 구한 사안에서 임대차계약 해지를 주장하며 반소를 구한 사례
사건개요
의뢰인은 2010년부터 상대방과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여 2020년까지 사용하다가, 코로나19로 사업이 잘 안되어 2020. 4.부터 월차임을 지급하지 못하였고, 2020. 8. 상대방에게 임대차계약 해지를 요청하고, 이후 건물을 인도해 주었으나, 상대방은 임대차계약 해지 사실을 부인하며 의뢰인을 상대로 건물인도와 미지급 차임을 청구하였습니다.
주요 쟁점 및 성공전략
이 사안은 임차인인 의뢰인이 임대인인 상대방에게 건물을 인도하지 않고, 여전히 점유하고 있는지가 쟁점이었는데, 여러 차례 준비서면과 증거제출을 통해 의뢰인이 상대방에게 건물을 인도하였다는 주장을 펼쳤고, 이에 재판부는 상대방의 청구를 전부 기각시키고 상대방이 의뢰인에게 보증금에서 미지급 차임을 공제한 나머지 금원을 반환하라고 판결하였습니다.
결과
의뢰인은 임대인인으로부터 보증금을 일부 돌려받았습니다.
분류
명도
관련 사건사례
MORE- 매수인이 임차인을 구해 그 보증금으로 계약금을 지급 하였으나, 이후 임대차계약이 파기된 경우 그 계약금의 귀속주체
- 민간주택재개발사업 사업계획승인에 따라 철거를 위하여 임대차계약의 갱신을 거절하고 임차인에게 건물인도를 청구한 사안
- 위탁자가 상가건물 신축사업을 위해 토지신탁계약을 체결하고 그 신축 건물의 준공 이후 개별 호실에 관하여 부동산담보신탁계약을 체결하였는데, 위탁자의 채권자가 위탁자의 신축 건물에 관한 추가신탁이 사해행위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신탁계약의 취소 및 신탁등기 말소를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사안에서, 신탁회사를 대리하여 원고의 신탁회사에 대한 청구 전부를 기각하는 판결을 이끌어낸 사례
관련 구성원
MORE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문의를 통해 전달해주세요.